공지사항 <카카오같이가치> 1m 짧은 줄, 제주도 마당개에 작은 날개를 달아주세요!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댓글 0건 조회 13회 작성일 25-10-28 09:47

본문

7f450f6584d10381567662fb6377d450_1761612362_7251.jpg


평생 같은 자리를 뱅글뱅글 돌다 쓰러져가는 마당개들

아름다운 자연과 어울리지 않게 제주도는 전국적으로 인구 대비 가장 많은 유기동물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주요 원인은 마당개 밭지킴개라 부르며 소외되고 방치되고 그러다 버려지는 강생이들이 많기 때문입니다. 1m 짧은 줄에 묶여 임신을 반복하며 겨울에는 비바람만 겨우 피하며 추위에 온몸을 떨다 선잠을 자거나 여름에는 작열하는 더위에 열사병으로 숨을 헐떡이다 고통스럽게 죽음에 이르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줄이 짧다 보니 평생 같은 자리에서 뱅글뱅글 돌며 먹고 자는 등 모든 것을 해결할 수밖에 없습니다. 상황이 그러다 보니 산책은 정말 꿈만 같은 일입니다. 제주의 올레길을 여행하는 시민들은 (사)제주동물권행동 나우에 "지나가다가 본 마당개가 잊히지 않아서 민원을 넣습니다" "개들이 너무 추워 보여요" "너무 더워 보여요" "너무 고통스러워 보입니다" "보호자들이 개들을 이렇게 키우는 게 잘못된 걸 모르는 거 같아요. 도와주세요!" 등 많은 민원을 넣고 있습니다. 그렇다고 보호자 개인의 문제로 손가락질만 한다면 마당개들은 평생 불행하게 지낼 수밖에 없습니다.

열악한 환경 속에서도 환한 웃음을 잃지 않는 이웃의 마당개 '바다'

바다는 8살이 된 이웃이 마당개입니다. 열악한 환경을 발견한 시민의 제보가 있어 (사)제주동물권행동 나우에서 바다의 실제 환경을 조사하기 위해 방문하였습니다. 첫 방문 때는 보호자를 만나지 못했습니다. 환경은 열악해 보였지만 보호자의 동의가 없이는 환경개선이 힘든 상황이었습니다. 그래서 보호자께 긴 손 편지와 담당 활동가의 전화번호를 남겼습니다. 이틀이 지난 오전에 전화가 왔습니다. 바다의 보호자를 만나 현실적인 여러 어려움과 바다의 이야기를 알게 되었습니다. 바다는 보호자의 식당 인근 주차장에 유기되었던 강생이었습니다. 함께 지낸 지는 이제 8년이 된다고 합니다. 몇 개월 전에 보호자가 뇌졸중으로 쓰러진 뒤부터 관리를 소홀하게 되었다고 했습니다. 단체에서 돌봄에 도움을 준다면 고맙겠다는 아주 진솔하고 말씀을 하셨습니다. 현재는 바다의 산책지기 봉사자와 단체가 함께 일주일에 한 번 방문하여 보금자리를 정리하고 산책도 하며 보호자와 이야기도 나누고 있습니다. 바다는 현재 깨끗한 환경에서 어느 때보다 밝고 건강한 모습으로 지내고 있습니다. 그런 모습을 보는 보호자님도 조금은 건강해진 모습입니다. 작은 마을의 마당개들의 보호자 대부분은 바다의 보호자와 비슷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우리 시민들이 조금만 도움을 준다면 또한 소중한 생명인 마당개를 공동체가 함께 돌본다면 작은 마을에 웃음이 많아질 겁니다.

콘텐츠 이미지 모음
Slide 1 of 5
이전 슬라이드
다음 슬라이드
슬라이드1 / 5
열악한 환경에도 활짝 웃는 이웃의 마당개 '바다'

열악한 환경에도 활짝 웃는 이웃의 마당개 '바다'

1m 줄에 묶여 있는 제주도 마을 마당개들, 변화를 위한 인식 개선이 필요합니다.

웃음을 잃은 백구는 제주도 작은 마을 곳곳에 있습니다. 평생 묶여서 산책은 고사하고 그 자리를 뱅뱅 맴돌 뿐입니다. 집 안에 있든 밖에 있든 모든 강생이는 반려동물입니다. 보호자의 돌봄은 의무이지만 아직 작은 마을까지 그 소중함이 전달되지 못했습니다. 제주동물권행동 나우는 제주도 16개 읍면 단위 마당개 현황을 조사하고 다른 지역의 현황과 돌봄 사례 등 자료를 분석하여 제주도의 마당개 조사 자료집을 만들겠습니다. 이 자료를 토대로 제주도 마당개의 현재를 기록하여 향후 다양한 프로젝트의 기초 자료로 활용하겠습니다. '100여 개 마을을 직접 찾아가는 교육'으로 이해하기 쉽게 교육 자료를 제작하여 마을 주민을 대상으로 마당개 올바른 돌봄 방법, 기초적 환경개선의 필요성, 산책 교육 그리고 반려동물 등록의 중요성 등을 교육하고 일정 기간 산책이 잘 진행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연계를 갖도록 하겠습니다. 많은 시민은 방법을 모를 뿐 관심과 도움을 준다면 변화는 가능합니다. 제주도의 아름다운 자연만큼 제주 사람들이 강생이에 대한 아름다운 마음을 가진다면 더 빛나는 제주가 될 것입니다. 아름다운 제주, 성숙한 반려문화 정착을 위해 '제주동물권행동 나우'와 함께해 주시길 부탁드립니다.

콘텐츠 이미지 모음